개발/UE4
-
https://www.unrealengine.com/ko/tech-blog/dealing-with-memory-leaks-in-ue4 Dealing With Memory Leaks in Unreal Engine 4 메모리 누수(Memory leaks)는 증상이 나타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서 찾기가 어려운 종류의 버그입니다. 이런 버그는 메모리를 할당하고 나서 비워주는 것을 잊었을 때 생겨납니다. 모든 누수위치 www.unrealengine.com 게임에서 MemReport를 통해 프로파일링을 했을 때, 실존 객체 차이가 없지만 메모리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다. 언리얼 파라곤 팀에서는 이런 메모리 누수를 확인하기 메모리 릭 확인용 툴을 사용했다. 위 링크에서 말하는 바로는 MallocLeakDetecti..
[UE4/Profiling] Memory Profile 활성화https://www.unrealengine.com/ko/tech-blog/dealing-with-memory-leaks-in-ue4 Dealing With Memory Leaks in Unreal Engine 4 메모리 누수(Memory leaks)는 증상이 나타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서 찾기가 어려운 종류의 버그입니다. 이런 버그는 메모리를 할당하고 나서 비워주는 것을 잊었을 때 생겨납니다. 모든 누수위치 www.unrealengine.com 게임에서 MemReport를 통해 프로파일링을 했을 때, 실존 객체 차이가 없지만 메모리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다. 언리얼 파라곤 팀에서는 이런 메모리 누수를 확인하기 메모리 릭 확인용 툴을 사용했다. 위 링크에서 말하는 바로는 MallocLeakDetecti..
2022.05.17 -
Slate Module 아래 TabManager을 상속받는다. 모듈을 로드하며 각 모듈에서 정의하는 Tab Event를 관리한다. 정의된 Tab을 강제로 실행시키거나, 현재 사용가능한 탭을 확인하는 등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. 전역 객체인 FGlobalTabManager 덕분에 모듈 종속성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가능하다.
[UE4/Editor Scripting] FGlobalTabManagerSlate Module 아래 TabManager을 상속받는다. 모듈을 로드하며 각 모듈에서 정의하는 Tab Event를 관리한다. 정의된 Tab을 강제로 실행시키거나, 현재 사용가능한 탭을 확인하는 등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. 전역 객체인 FGlobalTabManager 덕분에 모듈 종속성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가능하다.
2022.05.10 -
https://gist.github.com/JSungMin/4cea35d86b5194966144fdf9497b399c Simple batch file to launch an Unreal Engine 4 client or server or both of them :) Simple batch file to launch an Unreal Engine 4 client or server or both of them :) - start.bat gist.github.com 변수 지정을 통해 테스트 가능
[빌드/실행] Batch 파일로 빌드 후 데디 서버 실행 및 접속https://gist.github.com/JSungMin/4cea35d86b5194966144fdf9497b399c Simple batch file to launch an Unreal Engine 4 client or server or both of them :) Simple batch file to launch an Unreal Engine 4 client or server or both of them :) - start.bat gist.github.com 변수 지정을 통해 테스트 가능
2022.03.17 -
언리얼 4의 DLSS 플러그인은 PIE Viewports에서 DLSS를 활성화할 수 있는 옵션(Enable DLSS in Play In Editor viewports)이 기본 지원된다. 문제는 현제 플러그인 버전에선 해당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, Standalone Process를 추가로 생성하면 해당 프로세스의 심볼이 변형돼 디버거를 붙일 수 없는 버그가 발생한다. 이에 멀티환경 테스트를 해야 한다면, Enable DLSS in Play In Editor viewports 옵션을 비활성화하고 쓰길 권한다.
[Issue] UE4 DLSS 2.3.3 Standalone 디버깅 이슈언리얼 4의 DLSS 플러그인은 PIE Viewports에서 DLSS를 활성화할 수 있는 옵션(Enable DLSS in Play In Editor viewports)이 기본 지원된다. 문제는 현제 플러그인 버전에선 해당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, Standalone Process를 추가로 생성하면 해당 프로세스의 심볼이 변형돼 디버거를 붙일 수 없는 버그가 발생한다. 이에 멀티환경 테스트를 해야 한다면, Enable DLSS in Play In Editor viewports 옵션을 비활성화하고 쓰길 권한다.
2022.03.12 -
Landmass 활성화 방법 1. 엔진에 포함되어 있는 Landmass Plugin을 프로젝트 관리에서 활성화한다. 2. 모드 -> 랜드스케이프 (Shift + 2 : 핫 키)을 선택한 후 랜드스케이프 옵션 중 '레이어 시스템 활성화'을 킨 후 생성한다. (Landmass는 Layer System에 의존성을 갖는다.) 3. 메뉴바에 'Sculping' 메뉴를 선택 후 'Blueprint' 를 선택한다. 4. 사용하고자 하는 Blueprint Brush를 선택 후 적용하려는 Landscape을 클릭하여 적용한다. Landmass Material Landmass에서는 아래와 같은 3종류의 기본 마테리얼을 제공한다. 1. Landmass : 사용자 정의 스플라인 셰이프와 구성 가능한 이펙트 컬렉션(침식, 컬 ..
[Landmass] Landmass Brush 생성Landmass 활성화 방법 1. 엔진에 포함되어 있는 Landmass Plugin을 프로젝트 관리에서 활성화한다. 2. 모드 -> 랜드스케이프 (Shift + 2 : 핫 키)을 선택한 후 랜드스케이프 옵션 중 '레이어 시스템 활성화'을 킨 후 생성한다. (Landmass는 Layer System에 의존성을 갖는다.) 3. 메뉴바에 'Sculping' 메뉴를 선택 후 'Blueprint' 를 선택한다. 4. 사용하고자 하는 Blueprint Brush를 선택 후 적용하려는 Landscape을 클릭하여 적용한다. Landmass Material Landmass에서는 아래와 같은 3종류의 기본 마테리얼을 제공한다. 1. Landmass : 사용자 정의 스플라인 셰이프와 구성 가능한 이펙트 컬렉션(침식, 컬 ..
2022.02.15 -
- 언리얼에선 Pak을 통해 패키징한다는 옵션을 활성화하면, Primary, Secondary Label Asset을 통해 Chuck를 그룹화하고 이를 패키징 단계에서 Cooking 할 수 있다. - Chunk를 Cooking 할 때 Pak Rule이 적용되는데, 이 규칙은 아래와 같은 우선순위를 갖는다. 1. AssetLabel을 통해 지정된 PakRule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며, PrimaryAsset과 같은 AssetLable 에셋에서 지정할 수 있다. 2. PakBlacklist '프로젝트/Build/TargetPlatform/PakBlacklist-BuildTarget.txt' 에 쿠킹시 제외할 에셋 경로를 지정할 수 있으며, 'CopyBuildToStagingDirectory.Automa..
[Packaging] Unreal Pak Extraction- 언리얼에선 Pak을 통해 패키징한다는 옵션을 활성화하면, Primary, Secondary Label Asset을 통해 Chuck를 그룹화하고 이를 패키징 단계에서 Cooking 할 수 있다. - Chunk를 Cooking 할 때 Pak Rule이 적용되는데, 이 규칙은 아래와 같은 우선순위를 갖는다. 1. AssetLabel을 통해 지정된 PakRule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며, PrimaryAsset과 같은 AssetLable 에셋에서 지정할 수 있다. 2. PakBlacklist '프로젝트/Build/TargetPlatform/PakBlacklist-BuildTarget.txt' 에 쿠킹시 제외할 에셋 경로를 지정할 수 있으며, 'CopyBuildToStagingDirectory.Automa..
2022.02.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