게임에서 MemReport를 통해 프로파일링을 했을 때, 실존 객체 차이가 없지만 메모리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다.
언리얼 파라곤 팀에서는 이런 메모리 누수를 확인하기 메모리 릭 확인용 툴을 사용했다.
위 링크에서 말하는 바로는 MallocLeakDetection.h 에 정의된 #define MALLOC_LEAKDETECTION 0 을 #define MALLOC_LEAKDETECTION 1로 바꾸라고 말하지만, 이를 위해 엔진를 리빌드하고 사내에 재배포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는건 무리다.
이에 우회 방법을 언리얼에선 정의해놓았다.
Game<Config>.target.cs에 아래와 같이 추가로 정의하면, MALLOC_LEAKDETECTION을 1로 정의해,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.